pugo's world

프란치스코 교황 건강 악화… 신장부진이란 무엇인가, 단계별 증상, 예방 및 관리 방법에 대해

by pugo

신장부진이란 썸네일
신장부진이란

 

최근 프란치스코 교황의 건강이 악화되어 많은 이들의 우려를 받고 있습니다. 교황청은 교황께서 호흡 곤란 증세로 고용량의 산소 치료를 받았으며, 혈소판 수치 감소로 수혈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신장부진이란 무엇이고, 신장부진의 예방 및 관리 방법, 단계별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신장부진이란?

 

신장부진은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체내 노폐물과 과도한 수분을 적절히 배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급성 신장 손상(급성 신부전)과 만성 신장 질환(만성 신부전)으로 구분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급성 신장 손상

 

급성 신장 손상은 신장 기능이 갑작스럽게 감소하는 상태로, 신체의 전해질 균형과 체액 조절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심한 탈수, 심한 감염, 약물 부작용, 신장으로 가는 혈류 감소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소변량 감소, 부종, 피로감, 혼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며, 수액 공급, 약물 조절, 투석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성 신장 질환

 

만성 신장 질환은 신장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는 상태로,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진행되면 고혈압, 부종, 피로감,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당뇨병, 고혈압, 만성 사구체신염 등이 있으며, 치료는 원인 질환의 관리와 함께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을 늦추는 데 중점을 둡니다. 말기에는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장부진
신장부진

신장부진의 예방과 관리

 

신장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예방과 관리 방법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수분 섭취: 충분한 수분 섭취는 신장 기능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혈압 및 혈당 관리: 고혈압과 당뇨병은 신장 손상의 주요 원인이므로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약물 복용 시 주의: 신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복용 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 신장 기능 검사를 포함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과 치료가 가능합니다.

 


신장부진
신장부진

신장부진(신부전) 단계별 증상 및 진행 과정

 

신장부진(신부전)은 신장의 기능이 점점 저하되는 진행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병이 진행될수록 다양한 합병증과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정도에 따라 크게 5단계(1~5기)로 나뉩니다.

 

1단계 (초기 신장 손상) – 신장 기능 90% 이상 유지

 

- 증상이 거의 없음

- 단순한 혈액 검사로는 잘 발견되지 않으며, 단백뇨(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나옴)가 나타날 수 있음

- 고혈압, 당뇨병 등 신장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이 있으면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

 

관리 방법

신장 손상의 원인(고혈압, 당뇨 등) 치료

나트륨과 단백질 섭취 조절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사 진행

 

2단계 (경미한 신장 기능 저하) – 신장 기능 60~89%

 

- 여전히 자각 증상이 거의 없음

- 단백뇨와 혈뇨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 혈압이 서서히 높아지거나 손발이 붓는 느낌이 들 수도 있음

 

관리 방법

식습관 개선 (저염식, 수분 조절)

체중 관리 및 적절한 운동

혈압과 혈당 철저히 조절

 

3단계 (중등도 신장 기능 저하) – 신장 기능 30~59%

 

- 피로감 증가, 체내 독소 배출 저하로 구토, 식욕 저하 발생 가능

- 혈압 상승, 빈혈, 뼈 건강 약화 (신장에서 비타민 D 활성화 기능 감소)

- 손발 부종이 점점 심해짐

 

관리 방법

단백질 섭취 제한 및 칼륨·인 조절

혈압약, 빈혈 치료제 복용 필요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사

 

4단계 (심각한 신장 기능 저하) – 신장 기능 15~29%

 

- 심한 피로, 구토, 가려움증, 체액 과다로 인한 부종 증가

- 숨이 차거나 가슴 두근거림 발생

- 칼륨 농도 증가로 심장 박동 이상(부정맥) 가능성 높아짐

 

관리 방법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담 후 신장 이식 또는 투석 준비 필요

철저한 식이요법과 생활 습관 개선 필수

인공 신장(투석)을 고려해야 할 단계

 

5단계 (말기 신부전) – 신장 기능 15% 이하

 

- 극심한 피로, 호흡곤란, 전신 부종, 혈압 불안정

- 신장이 더 이상 체내 독소 배출 불가능 → 요독증(혈액 내 독소 축적) 위험

- 피부 변색(회색빛), 심한 가려움, 근육 경련

 

관리 방법

투석(혈액투석, 복막투석) 또는 신장 이식 필수

투석을 받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한 단계

식이요법을 철저히 따르고 전문적인 치료 필요

블로그의 정보

pugo’s Blog

pugo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