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go's world

땅이 갑자기 꺼지는 이유? 싱크홀 발생 원인과 예방법!

by pugo

최근 일본에서 지름 40m, 깊이 15m의 싱크홀이 생겨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싱크홀 안 트럭 운전사가 구조되고 있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대한민국도 작년 연희동에 싱크홀이 나타났었습니다. 오늘은 싱크홀의 생기는 이유와 예방법, 보상, 국내 싱크홀 사례, 전조증상,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싱크홀 썸네일
싱크홀


싱크홀(Sinkhole)이란?

 

싱크홀은 지반이 갑자기 함몰되면서 땅이 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도심 한복판이나 도로 위에서 갑자기 나타나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싱크홀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1. 자연적 원인

 지하 석회암 용해: 비가 내리면 지하에 스며든 물이 석회암과 반응해 녹아내리면서 빈 공간이 형성됨

 지하수 변화: 지하수의 흐름이 변화하거나 고갈되면 지반이 약해짐

2. 인위적 원인

 지하공사: 도로, 건물, 지하철 공사 중 지반이 약화

 상하수도 파열: 오래된 배관이 터지면서 주변 흙이 씻겨 나가며 빈 공간 형성

 무분별한 개발: 도시 개발로 인해 지하 구조가 변형되면서 지반이 불안정해짐

 

싱크홀 예방법

 노후된 상하수도 점검 및 교체

 지하수 관리 및 개발 시 안정성 평가

 대형 건설 프로젝트 진행 시 지질조사 필수

 싱크홀 위험 지역에서는 지반 강화를 위한 보강 공사 시행

 

싱크홀은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 중 하나지만, 철저한 관리와 대비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국내 주요 싱크홀 사고 사례

 

1) 서울 송파구 석촌 싱크홀 (2014년)

사고 개요

 서울 송파구 석촌동 일대에서 크고 작은 싱크홀이 여러 차례 발생

 인근 롯데월드타워 공사가 원인으로 지목됨

 깊이 5m, 폭 80cm의 싱크홀 발생으로 시민 불안 증폭

 

원인

 지하수 유출 및 공사로 인한 지반 약화

 

결과

 주변 지역 긴급 보강 공사 및 지질 조사 진행

 피해 보상 관련 개별 소송 진행

 

2) 서울  반포동 싱크홀 (2016년)

사고 개요

 반포대로에서 폭 2m, 깊이 3m 규모의 싱크홀 발생

 강남순환도로 터널 공사 중 지반 침하 발생

 

원인

 터널 굴착 공사로 인해 지반이 약해짐

 

결과

 도로 긴급 복구 및 안전 점검 실시

 피해 차량 보상 진행

 

3) 서울 연희동 싱크홀(2024년)

사고 개요

 일시: 2024년 5월 23일

 위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도로

 규모: 지름 약 5m, 깊이 3m

 피해: 차량 1대 추락, 인근 도로 일부 통제

 

원인

 노후된 상수도관 파열로 인해 지반 침식

 지속적인 지하수 유출로 지반 약화

 인근 공사 영향 가능성 조사 진행

 

결과

 긴급 복구 공사 진행 (약 3일 소요)

 차량 수리비 및 피해 보상 협의

 서대문구청, 지반 정밀 조사 및 예방 조치 발표

 

싱크홀 전조증상

 

1. 도로 및 지반 이상 징후

 도로 표면에 가는 균열이 생기거나, 같은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균열 발생

 포장도로 한 부분이 움푹 패이거나, 특정 지역의 지반이 서서히 내려앉음

 맨홀 주변 아스팔트가 꺼지거나 벌어지는 현상

 배수구에서 물이 평소보다 빨리 빠지거나 한곳에 고이는 현상

 

2. 건물 및 구조물 이상

 건물 벽, 바닥, 천장 등에 점점 커지는 균열 발생

 문이나 창문이 갑자기 삐걱거리거나 닫기 어려워짐

 바닥이 기울어져 실내에서 물건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

 

3. 지하 및 배관 문제

 지하에서 지속적인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림

 지하 공간에서 갑작스러운 공기 흡입 소리 발생

 상하수도관이 손상되거나 갑자기 터지는 현상

 

4. 자연적 전조증상

 특정 구역에서 미세한 진동이 반복적으로 느껴짐

 우물이나 지하수의 수위가 갑자기 변화

 

싱크홀 전조증상 발견 시 대처 방법

1. 균열이나 침하가 있는 도로 또는 건물을 발견하면 지자체(구청, 시청) 또는 119에 신고

2. 가능하면 해당 지역을 피하고, 차량 운행 시 속도를 줄여 이동

3. 집에서 균열이나 바닥 침하를 발견하면 즉시 대피 후 전문가 점검 요청

4. 싱크홀 위험 지역(지하수 사용량이 많은 지역, 공사장 주변 등)은 주기적인 점검 필요

 

싱크홀 관련주에는 무엇이 있을까?

 

종목명 관련 사업 설명
유신 (054930) 지질 조사 도로 및 건설 현장 지반 조사 전문 기업
삼호개발 (010960) 토목 공사 지반 개량 및 복구 공사 전문 기업
동아지질 (028100) 터널 및 지반 보강 싱크홀 복구 및 지반 공사 수행
한라 (014790) 건설사 도로 공사 및 지반 안정화 사업 진행
GS건설 (006360) 건설사 대규모 인프라 건설 및 안전 기술 연구
특수건설 (026150) 지하공사 터널 공사 및 지반 보강 관련 사업 운영
KT (030200)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지하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
코오롱글로벌 (003070) 지반 공사 건설, 토목 사업과 함께 지반 안정화 기술 적용

 

이 기업들은 지반 보강, 지질 조사, 건설 안전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싱크홀 복구 및 예방 관련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종목들입니다.

블로그의 정보

pugo’s Blog

pugo

활동하기